네이버플레이스상단
[편집자주] 한반도 외교안보의 오늘을 설명하고, 내일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한 발 더 들어가야 할 이야기를 쉽고 재밌게 짚어보겠습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심판 선고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군사분계선 넘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남한 내부는 탄핵 정국으로 혼란하지만, 북한은 남한에는 아무런 관심이 없는 듯하다. 지금 김 총비서 머릿속은 남한보다는 러시아나 미국으로 가득 차 있는 듯하다.러 파병 '반대급부' 극대화하며 트럼프의 '핵 보유국' 인정 기다리기김 총비서는 지난해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후 그해 10월 우크라이나 전쟁에 군대를 파견하는 초유의 결정을 내렸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뒤에도 북한은 미국으로 고개를 돌리지 않고 러시아와의 밀착에 집중하고 있다.지금 현안은 우크라전 종전 협상임이 분명해 보인다. 김 총비서는 전쟁이 끝나기 전에 파병에 대한 반대급부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종전 이후에도 러시아와의 관계를 지금처럼 유지하는 것이 북한의 입장에선 현실적인 '국익 극대화' 방안일 것이다. 하지만 툭하면 자신의 이름을 거론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신경 쓰이지 않는다면 거짓말일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북한을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나 '빅 뉴클리어 네이션'(big nuclear nation)이라고 부르며 '북한과 뭔가를 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김 총비서의 입장에선 2019년 하노이에서 협상을 결렬 내 망신을 준 장본인이 다시 손짓을 하면서 자신을 떠보는 듯이 구는 것이 거슬릴 수 있다. 동시에 궁극적으로 미국과 '담판'을 짓긴 해야 한다는 생각도 지우긴 어려울 것이 자명하다.북한은 일단 '정중동'이다. 보다 확실한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기다리며 '로키'(low-key)로 대응하고 있다는 것이 더 맞는 말일 것이다. 그는 미국이 제시할 카드나 6년 전처[아이뉴스24 최기철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4일 내려지는 가운데, 이 정부에서 탄핵된 정부 고위층 인사 중 박성재 법무부 장관만 사실상 유일하게 남게 됐다. 윤 대통령이 파면될 경우, 박 장관은 조기대선 국면 중 탄핵심판 선고를 받게 될 전망이다. 박성재 법무부 장관이 2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소심판정에서 열린 탄핵 심판 첫 변론준비기일에 참석해 있다. 2025.2.24 [사진=연합뉴스] 3일 헌법재판소에 따르면, 박 전 장관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일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헌재 관계자는 "4월 10일 선고 사건은 다음 주나 되어야 확정될 것"이라고 했다. 헌재는 통상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심판 선고기일을 잡는데 박 장관 선고기일은 아직 안 잡혔다는 얘기다.김용민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170인은 지난해 12월 10일 박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해 2일 후 본회의에서 통과시켰다. 취임 이후 9개월 여만이다.△비상계엄 선포 관여 △내란행위 가담 △국회에서의 부적절한 행위 등이 소추 사유다. '12·3 비상계엄' 당시 윤 대통령의 내란행위에 동조하고 정치적 중립의무를 위반하는 한편, 계엄 해제 당일 대통령 안가에서 정부 주요 인사들과 2차 계엄을 논의하고 체포 대상 주요 인사들을 가둘 구금 장소를 준비했다는 의혹이다. '국회에서의 부적절한 행위'는 국회와 국민을 무시하는 태도(야당 대표를 노려봄)를 여러번 보였다는 것이다.헌재는 사건 접수 99일만인 지난달 18일 변론기일을 한 차례 진행하고 종결했다. 국회 탄핵소추위원단장 자격으로 심판정에 출석한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은 "박 장관은 헌법정신을 어기고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윤 대통령에 대해 목숨 걸고 반대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박 장관은 "국회는 사실확인을 위한 그 어떤 조치도 하지 않았다"면서 "국회법 위반으로 봐야 한다. 졸속 소추는 파면을 목적으로 하는 게 아니라 오로지 고위공직자 직무 정지를 통한 국정 공백과 마비를 초래할 의도"라고 항변했다.헌재는 첫 기일에서 변론을 종결하고 선고기일을 추후 통지하겠다고 했지만 아직 통지하
네이버플레이스상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