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28일 미국 플로리다주 고속도로 전광판에 캐나다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 정부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기 위해 “관세는 장바구니 영수증에 따라붙는 세금과 같다”는 광고문구를 내걸었다. 연합뉴스 “마킬라도라(Maquiladora) 산업마저 휘청될 줄 몰랐다.” 최근 멕시코에선 이런 한탄이 쏟아진다고 한다. 마킬라도라는 멕시코가 저임금 노동력을 이용해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섬유·의류 중간재나 최종생산물을 만들어 미국으로 수출하는 ‘미-멕시코’ 간 연결 산업을 의미한다. 마킬라도라로 미국과 멕시코는 ‘이와 잇몸’에 비유될 만큼 긴밀한 교역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최근 이들의 교역 관계가 후퇴할 위험에 놓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 등 인접국에까지 관세 부과 카드를 내놓았기 때문이다. 이 피해는 멕시코로 수년 전 생산기지를 옮긴 국내 기업들에까지 뻗쳤다. 국내에서는 철강, 알루미늄 제품 등을 생산하던 수출 중소기업이 날벼락을 맞았다. 이미 국내 일선 업체에선 매년 이뤄졌던 계약이 갑자기 끊기거나 연기되고, 수입사 대신 수천만원 관세를 물어주는 일이 발생했다. 생산기반을 마음대로 옮기기도 어려운 국내외 대미 수출 중소기업의 피해는 이제 시작이란 지적이 나온다. ‘니어쇼어링’ 했는데···멕시코까지 관세A사는 멕시코에 자동차부품 공장을 둔 고용인 200여명 규모 중소기업이다. 미국 GM, 포드 등의 자동차회사에 들어가는 부품을 팔기 위해 이 회사는 트럼프 1기 행정부 출범 직후 멕시코에 공장을 새로 지었다. 이른바 ‘니어쇼어링’ 일환이었다. 니어쇼어링은 미국 인접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당시는 미국이 중국 견제와 공급망 안정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자 니어쇼어링이 주목을 받으며 멕시코가 크게 부상했다. 당시 트럼프 1기 행정부도 관세정책을 강력히 추진했으나 여러 면제조항과 예외품목이 포함돼 수출기업의 직접적 타격은 적었다. 또 대부분의 관세 공격이 중국에 집중됐고,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이 체결된 멕시코나 캐나다는 관세 영향권 밖에 있었다. 이때 멕시코로 날아간 건 A사뿐만이 아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집계를 보면 1999년부터 2023년까지 멕시코에 투자한 이력이 있는 한국 기업은 2000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호텔 신축 공사장에서 화재 현장 (부산경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스1) 장광일 기자 = 부산 반얀트리 화재가 발생한 지 두달이 지난 시점에서 부산경찰청과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은 7일 오전 중간 수사 브리핑을 연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최근 구속된 현장 관계자들의 구체적인 혐의, 사용승인에 대한 압수수색 결과 등이 공개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2월 14일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공사 현장에서 불이 나 작업자 6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다. 당초 이 불로 인한 부상자는 27명으로 집계됐으나 이들 중 17명은 단순 연기 흡입, 9명은 경미한 부상으로 파악돼 최종 집계에서 빠졌다.사고 후 이틀 뒤인 2월 16일 소방, 경찰, 기장군,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사, 전기안전공사 등은 합동감식을 진행했다. 그 결과 사망자 6명은 지하 2층과 3층에 있던 공사 자재를 챙긴 뒤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작업 현장으로 돌아가던 중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숨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또 국립수사과학연구원은 지상 1층 PT룸(배관 관리실)에서 발생한 불똥 등에 의해 바로 아래층인 지하 1층 수처리 기계실 천장 배관의 보온제에서 불이 시작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냈다.아울러 현장에는 화재 감지기, 통로 유도등, 시각 경보기 등 설계 도면 상엔 표기돼 있으나 실제로는 설치되지 않은 소방 시설이 다수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호텔 신축 공사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과학수사대 화재감식팀, 소방 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립재난안전원 등 관계자들이 합동 감식을 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지난 14일 오전 이곳에서 발생한 화재로 작업자 6명이 목숨을 잃었다. 2025.2.16/뉴스1 ⓒ News1 윤일지 기자 반얀트리 현장은 지난해 12월 준공 허가에 가까운 '사용 승인'과 소방시설완공검사 증명서를 발급받은 상태였다. 이들 서류를 받기 위해선 설치 완료된 소방시설과 도면, 계산서 등 준공 도서가 일치해야 한다.사고 당일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현장에 배치돼야 할 안전보건관리책임자(관리책임자)와 안전관리자도 없던 것으로 드러났다. 안전관리자는 특정 규모 이상 공사 현장에 배치돼야 하는 사람으로 안전관리에 대한 기술적인 조언, 지도를 하는 사람을 뜻한다. 관리책임자